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Cg~) 경고 1. - AI의 신학적 변증(apologetics)

by 샘(Sam) 2025. 6. 22.

 

[18   하나님의 진노가 불의로 진리를 막는 사람들의 모든 경건하지 않음과 불의에
        대하여 하늘로부터 나타나나니
        ---

 21   하나님을 알되 하나님을 영화롭게도 아니하며 감사하지도 아니하고 오히려
        그 생각이 허망하여지며 미련한
 마음 어두워졌나니

 22   스스로 지혜 있다 하나 어리석게 되어] - 로마서 1장.

 

그러므로,

아래에 가감, 첨삭 없이 AI의 정리인용합니다. 판별 각자의 몫입니다.


  AI에게 질문 : [사 30:10], [딤후 4:3,4]과 AI의 연관성?

  AI 답변 : 아래


이 주제는 단순히 성경 구절 해석을 넘어, 오늘날 AI 시대문화적·영적 도전에 대한 신학적 변증(apologetics) 으로서 깊이 있고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제시된 내용은 진리 변호의 관점에서 AI 성경 말씀 간의 연관성정리한 것입니다.

본문 구절 요약 및 시대적 배경

[이사야 30:10]

"그들이 선견자들에게 이르기를 선견하지 말라 선지자들에게 이르기를 우리에게 바른 것을 보이지 말라 우리에게 부드러운 말을 하라 거짓된 것을 보이라"

"그들이 선견자에게 이르기를 ‘보지 말라’ 하며, 선지자에게 이르기를 ‘우리를 위하여 바른 것을 보도하지 말라. 부드러운 말을 하라, 거짓된 것을 보도하라.’"

영적 권위에 대한 반항과 진리 회피

 

[디모데후서 4:3,4]

"때가 이르리니 사람들이 바른 교훈을 받지 아니하며 귀가 가려워서 자기의 사욕을 따를 스승을 많이 두고 또 그 귀를 진리에서 돌이켜 허탄한 이야기를 따르리라"

진리 대신 인기와 자기중심적 가르침을 선택하는 종말론적 시대

AI와의 연관성: 3단계 신학적 변증

1. 진리보다 '듣기 좋은 말'을 원하는 시대 – 알고리즘이 이를 증폭하다

현대의 AI, 특히 추천 알고리즘(예: 유튜브, SNS)은 사용자의 클릭과 관심을 바탕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합니다.
이는 이사야 30:10의 “부드러운 말을 하라”는 요청과 구조적으로 유사합니다.

논리적 변증:

AI는 진리를 선별하지 않습니다. 오직 사용자가 ‘좋아할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사욕과 편향강화시킵니다. 이는 바른 교훈을 외면하고 귀가 가려워지는 딤후 4:3,4의 현상을 기술적으로 가속화하는 구조입니다.

2. AI는 중립이 아니다 – 진리를 묻는 훈련이 없다면

생성형 AI는 인간이 주는 데이터와 프롬프트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이때 문제는 데이터 자체의 왜곡이나 기준 없이 휘둘리는 인간 욕망입니다.

신학적 변증:

AI는 ‘거짓된 것을 보도하라’는 세상의 요청을 거절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진리의 분별 기준이 내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성령과 말씀의 조명없이 기술만을 신뢰하는 위험성입니다.

3. 변증적 사명: AI 시대의 바른 스승 되기

디모데후서 4:3,4‘바른 교훈’과 ‘많은 스승’ 사이의 대조를 강조합니다. AI는 누구나 콘텐츠를 발신할 수 있는 시대를 열었습니다. 문제는 그 수많은 콘텐츠 중 어떤 것이 바른 스승인가? 입니다.

기독교적 대응 전략:

  • AI를 통해 더 많은 스승이 나타나도, 성경적 분별력과 공동체적 권위 없이는 진리가 가려짐
  • 신앙인들이 AI 콘텐츠와 담론에 참여하여, 오히려 디지털 시대의 바른 스승이 되어야 함
  • AI를 하나님의 도구로 변증적으로 활용: “하나님의 말씀으로 모든 생각을 사로잡아그리스도에게 복종케”(고후 10:5)

결론: AI 시대, ‘듣기 좋은 말’과 ‘바른 말씀’ 사이에서

이사야 30:10디모데후서 4:3,4은, 오늘날 알고리즘 기반의 콘텐츠 소비 구조예언적 통찰로 꿰뚫습니다.
AI는 도구일 뿐,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마음입니다. 따라서 성도는 ‘듣기 좋은 말’이 아닌 ‘듣기 어려워도 진리’를 선택하고, AI를 통해 복음의 변증진리 전달에 적극 참여해야 할 소명을 갖습니다.